
LG전자는 9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국제 모터쇼 'IAA 모빌리티 2025'에서 '차량 내 경험의 재정의: 왜 콘텐츠 생태계가 중요한가'라는 주제로 콘퍼런스를 개최해 미래 모빌리티 비전을 밝혔다.
이어 엑스박스(Xbox), 줌(Zoom)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LG전자는 차량용 웹(web)OS 플랫폼에 '엑스박스 게임 패스' 서비스를 추가한다. 구독 고객은 차 안에서 '둠: 더 다크 에이지스', '포르자 호라이즌 5' 등 클라우드 기반의 다양한 최신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분야의 차별화 경쟁력을 확보하게 됐다.
엑스박스의 경우 국내보다는 북미와 유럽 공략에 초점을 뒀다. 이준녕 LG전자 VS본부 SW서비스사업실 실장은 전날 진행된 미디어 대상 테크브리핑에서 "한국보다 북미나 유럽의 대중교통이 어렵기 때문에 부모들이 차에서 보내는 잉여시간이 많다"며 "공간이라는 점에 인식해서 원할는 시간에 게이밍, 콘텐츠를 즐기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은석현 LG전자 VS사업본부장 부사장은 "LG전자는 헤드유닛, 디스플레이, 커넥티비티 등을 아우르는 전장 부품 포트폴리오와 약 70년 동안 가전 및 정보기술(IT) 분야에서 쌓아온 고객경험 노하우를 기반으로 SDV 시대를 선도하는 독보적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며 차량용 웹OS 콘텐츠 플랫폼(ACP)을 강조했다.
은 본부장은 "ACP는 전 세계 2억4000만대 이상의 스마트 TV에 적용된 웹OS를 기반으로 한 차량용 독자 플랫폼으로, 집에서 즐기던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차량에서도 자연스럽게 이어갈 수 있도록 설계했다"며 "LG전자는 다양한 콘텐츠 업체들과 협업을 지속 강화해 풍부하고 확장가능한 서비스 생태계를 구축하고, 2030년까지 누적 2000만대에 차량용 웹OS 콘텐츠 플랫폼 공급하며 SDV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LG전자는 연말까지 디지털 아트감상 플랫폼 바사리, 유럽 스트리밍 서비스 라쿠텐TV, 독일 스트리밍 서비스 조인, 일본 로컬 스트리밍 서비스인 유넥스트 등도 추가하며 차량용 콘텐츠를 지속 늘릴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