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AI 기회 위해 책임 원칙 바로 세워야…韓, 국제 협력 주도할 것"

  • 유엔 안보리 공개 토의서 "똑같은 칼도 훌륭한 도구이자 위협적 무기"

  • "국익 위해 경쟁하되 모두의 이익 위해 협력해야 '인간 중심 AI' 혁신"

이재명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안전보장이사회 공개토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안전보장이사회 공개토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AI(인공지능) 시대의 명암과 관련한 '책임 있는 이용'의 원칙을 강조하면서 대한민국이 국제 사회 협력을 주도하는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AI와 국제 평화·안보'란 주제로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공개 토의 모두발언에서 "똑같은 칼도 요리사에겐 다른 사람을 행복하게 만들 훌륭한 도구이지만, 강도에겐 그저 남을 해치는 위협적인 무기"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의 AI는 새끼 호랑이와 같다"던 제프리 힌튼 교수의 말이 떠올랐다"며 "우리 앞의 새끼 호랑이는 우리를 잡아먹을 사나운 맹수가 될 수도 있고,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나오는 사랑스러운 '더피'가 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대해 "AI를 잘 활용한다면 저성장, 고물가 같은 난제를 해결해 새로운 번영의 길을 열어내고, 의료, 식량, 교육 등 여러 문제에 해답을 줄 수도 있다"며 "그러나 변화에 대비하지 못한 채 끌려간다면 극심한 기술 격차가 '철의 장막'을 능가하는 '실리콘 장막'으로 작동해 전 세계적인 불평등과 불균형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명과 암이 공존하는 AI 시대의 변화를 기회로 만들 방법은 국제 사회가 단합해 '책임 있는 이용'의 원칙을 바로 세우는 것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유일하고도 현명한 대처는 '국익을 위해 경쟁하되 모두의 이익을 위해 협력하는' 것"이라며 "각국 정부와 학계, 산업계, 시민사회가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아야 '모두를 위한 AI', '인간 중심의 포용적 AI'로의 혁신을 이뤄낼 수 있다"고 주문했다.

이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유엔 안보리의 막중한 역할과 책임을 거론했다. 이 대통령은 "수많은 사람의 삶과 생명이 달린 국제 평화와 안보 분야에서 인공지능이 무궁무진한 잠재력과 가능성, 동시에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안보리는 그간 테러리즘, 사이버 공격, 팬데믹 같은 진화하는 위협에 적극 대처하며 국제 사회의 방향과 비전을 제시해 왔다"며 "이제 AI 시대에 변화한 안보 환경을 분석하고, 공동의 대응 방안을 찾아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 AI가 인류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도록 국제 사회와의 협력을 주도하는 길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우리나라는 지난해 네덜란드와 함께 유엔 총회 최초로 '군사 분야 AI' 결의안을 상정하고, AI의 책임 있는 군사적 이용에 관한 고위급 회의(REAIM)를 열었다.

이와 함께 지난해 5월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서울 선언'을 채택해 '안전, 혁신, 포용'의 3대 비전을 제시했고, 올해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의장국으로서 AI의 혁신이 인류의 번영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APEC AI 이니셔티브' 채택을 추진 중이다.

이 대통령은 "AI가 불러올 '문명사적 대전환' 앞에서 인류는 오랜 역사 동안 함께 지켜 온 보편 가치를 지켜내야 할 중요한 변곡점을 지나고 있다"며 "인류 문명은 늘 도전에 맞서 응전해 왔고, 어떤 절망을 마주해도 '더 나은 세계'를 향해 나아가겠다는 희망을 잃지 않았기에 지금의 진보를 만들어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위기 속에서도 언제나 세계 평화와 공동 번영의 길을 찾아 온 유엔의 빛나는 역사에 그 답이 있다"며 "우리 앞에 주어진 새로운 시대적 사명을 마다하지 말고, AI가 가져올 변화를 인류가 재도약할 발판으로 만들어 내자"고 독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