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6조6000억원 증발…갈수록 교묘해지는 가상자산 사기

  • 2021년 3조 돌파 이후 매년 수천억원씩 증가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최근 5년간 가상자산 범죄 피해액이 6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다단계·유사수신에서 SNS 기반 신종 사기까지 범죄 수법이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어 투자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6일 국회 정무위원회 추경호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올해 8월까지 발생한 가상자산 범죄 피해액은 총 6조6176억원으로 집계됐다. 2021년에 3조원을 넘긴 이후로 피해액은 매년 수천억원씩 늘어나고 있다.

경찰청 주요 검거 사례를 보면 범죄의 대담성과 정교함이 여실히 드러났다. 최근 "이더리움을 예치하면 원금과 30%의 이자를 지급하겠다"며 투자자를 모집해 1만600여명으로부터 5062억원을 가로챈 조직이 적발됐다 . 또 다른 사건에서는 "상장 예정 코인 투자 시 300% 수익을 보장한다"는 허위 정보를 퍼뜨려 168명으로부터 98억원을 편취했다. 수서경찰서가 적발한 사건에서는 가상자산 발행 재단과 공모해 프라이빗 세일을 가장해 1400여명에게서 250억원을 챙겼다.

범죄 수법은 오프라인 투자설명회에서 온라인으로 옮겨가는 모양새다. 부산에서는 허위사이트를 개설하고 SNS 광고를 뿌린 뒤 투자 전문가를 사칭하고 '선물 투자 원금 보장'을 내세워 134명에게서 65억원을 갈취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400% 수익 보장'을 미끼로 선물 마진거래를 내세워 1만2000여명에게 400억원을 빼앗기도 했다. 경기남부청이 검거한 범죄 단체는 비상장 코인 정보를 미끼로 28종의 가상자산을 판매해 3200억원을 편취했고 조직원만 215명이 적발될 정도로 대규모였다.

가상자산 범죄는 원금보장과 고수익 약속을 내세운 전통적 다단계·유사수신 수법에서 최근에는 SNS 와 메신저를 활용한 신종 사기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피해자는 청년층부터 노후자금을 모아둔 중장년층까지 사회 전계층에 걸쳐 발생하고 있으며, 단기간에 수백억원이 날아가는 대규모 피해가 반복되고 있다.

추경호 의원은 "가상자산 범죄는 단순히 개인을 속이는 차원을 넘어, 피해자를 홍보 수단으로 활용하며 사회 전반에 피해를 확산시킨다"며 "이런 구조적 특징을 끊기 위해서는 금융당국의 철저한 감독과 함께 국민 개개인이 투자 전 반드시 공신력 있는 기관을 통해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