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다시 미국행 비행기 몸 싣는 김용범·김정관…투자 방식 합의점 찾았을까

  • 22일 오전 방미…APEC 정상회의서 합의 기대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지난 16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을 통해 미국 워싱턴DC로 출국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왼쪽)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지난 16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을 통해 미국 워싱턴 DC로 출국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22일 오전 미국행에 나선다. 한·미 관세 협상이 막바지에 다다랐다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로 합의가 이뤄지는 것 아니냐는 주장도 조심스럽게 나온다.

22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김 실장과 김 장관은 이날 오전 워싱턴 DC로 출국한다. 지난주 관세 협상차 방미 후 귀국했던 김 실장은 지난 19일 이후 사흘, 김 장관은 20일 이후 이틀 만에 미국행 비행기에 몸을 재차 싣는 것이다.

한·미 관세협상을 총괄하고 있는 두 사람이 재차 출국길에 오른 가운데 조만간 성과가 도출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앞서 김정관 장관도 귀국길에서 "APEC 기간 전 필요하다면 미국을 방문해 협상을 계속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관건은 양측의 간극을 어떤 방식으로 좁힐지다. 김용범 실장은 "여전히 조율이 필요한 남은 쟁점이 한두 가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구체적인 쟁점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해당 쟁점에 대한 의견을 나누지 않겠냐는 관측이다.

미국 측에서 한국이 요청한 투자 방식을 수용하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한국은 3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에 나서기로 했지만 구체적인 투자 방식을 두고 양국의 주장이 엇갈렸다. 당초 한국은 5%가량의 직접투자에 나서고 나머지는 대출과 보증 방식의 투자에 나서겠다는 입장이었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전액 선불 투자를 주장해왔다.

하지만 지난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이 방미해 미국 측에 전액 선불 투자 시 우리 외환 시장이 받는 충격이 상당하다는 것을 설명해왔다. 이에 미국 측에서 이를 감안해 합의에 나설 수 있다는 의미다.

특히 이달 말 APEC 정상회의와 한·미 정상회담이 예정된 만큼 문서 형태의 합의가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원자력 협정 개정 관련한 내용이 담길 수 있다는 추측도 조심스럽게 나오는 상황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