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프로, 고전압 미드니켈 양산 착수

  • 하이니켈에서 미드니켈로 제품 다각화

  • 인니 니켈 프로젝트로 가격경쟁력 갖춰

  • 향후 헝가리 라인도 구축 예정

충북 청주시에 위치한 에코프로HN 본사 전경사진에코프로
충북 청주시에 위치한 에코프로HN 본사 전경[사진=에코프로]
하이니켈 기술을 선도해온 에코프로가 미드니켈로 제품 다각화에 나선다. 

에코프로는 자동차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의 양극소재 가격 인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한 HVM(고전압 미드니켈)이 최근 기술 검증을 마무리하고 양산 준비에 들어갔다고 28일 밝혔다.

미드니켈 양극재는 고용량 전기차 배터리에 쓰이는 하이니켈(니켈함량 90% 이상)과 달리 니켈 함량이 60% 수준이다. 삼원계 양극재의 주요 원료인 니켈의 원가 비중은 70% 안팎으로, 니켈 함량을 낮추면 양극재 가격을 인하할 수 있다.

에코프로는 특히 인도네시아 니켈 제련소 투자를 통해 양질의 니켈을 저렴하게 확보할 수 있어 미드니켈의 가격 경쟁력이 한층 제고될 것으로 전망된다.

에코프로는 인니 술라웨시섬 IMIP 산업단지내 4개 제련소에 약 7000억원을 투자한 데 이어 인근 IGIP 산업단지에서도 약 6만6000t 규모의 니켈 중간재료를 확보하기 위한 2단계 투자 계획을 수립 중에 있다.

에코프로가 개발한 HVM은 단결정으로 고전압 성능을 확보하고 수명과 안전성을 개선한 게 기술적 차별점이다. 특히 기존 미드니켈 배터리의 약점으로 지적되던 저온 성능까지 크게 개선해 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에코프로는 HVM을 활용해 중저가 모델에서도 시장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현재 글로벌 자동차 OEM 및 셀 업체들과 공급 협의를 진행 중이며 2027년 본격 양산을 위해 라인 개조에 착수했다.

에코프로는 미드니켈 생산 기지를 우선 포항에 구축하고, 향후 헝가리 양극재 라인에도 적용해 유럽 OEM을 적극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헝가리 공장은 총 면적 44만㎡ 부지에 3개 라인 기준 연 5만4000t 생산 캐파(CAPA)를 갖췄다. 시장이 확대되면 비슷한 규모 3개 라인을 추가 건설할 계획이다.

공보현 에코프로비엠 개발담당 상무는 "자체 개발한 단결정 양극재 기술을 미드니켈 소재에 적용해 높은 전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을 줄여 성능을 개선시켰다"며 "단결정은 양극재 입자가 하나의 연속된 결정구조로 이뤄진 소재로 충방전이 반복되더라도 구조가 깨지지 않아 안정성이 높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