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다시 연장된 홈플러스 회생안…'파산이냐 인수냐' 기로

  • 법원, 홈플러스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 내달 29일까지 연장

  • 인수전 참전 2곳, 인수 여력 의문…노동계 "정부가 나서라"

홈플러스 본사 전경 사진홈플러스
홈플러스 본사 전경 [사진=홈플러스]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의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이 한 달 이상 연장됐다. 인수의향자는 나섰지만 실질적인 자금력과 운영 역량이 불투명해 홈플러스가 청산으로 내몰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9일 유통업계 및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회생법원 회생4부(정준영 법원장)는 지난 6일 홈플러스의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을 이달 10일에서 12월 29일로 연장하기로 했다. 법원은 당초 올해 6월 3일이었던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을 이번을 포함해 모두 다섯 차례 연장했다.
 
홈플러스는 현재 회생계획 인가 전 인수합병(M&A)을 추진하며 인수의향자를 찾고 있다. 지난달 31일 접수가 마감된 홈플러스 공개 입찰에 인공지능(AI) 유통기업 ‘하렉스인포텍’과 부동산 임대·개발업체 ‘스노마드’가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했다.
 
다만 두 회사 모두 재무 구조가 취약하고 유통업 경험도 없어 홈플러스 인수 실현 가능성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홈플러스는 예비 실사를 거쳐 오는 26일 최종 입찰서를 받을 계획이다.
 
한편 정치권 일각에서 홈플러스의 회생과 관련해 농협 역할론 요구가 나오는 가운데 노동계와 시민단체는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요구하고 나섰다.
 
마트산업노조와 시민단체 등이 참여한 ‘홈플러스 사태 해결 공동대책위원회’는 전날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인근에서 ‘제2차 홈플러스 살리기 국민대회’를 열었다.
 
이들은 홈플러스 인수 성사를 위해 정부가 해결 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농협이 홈플러스를 인수하는 방법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집회에는 경찰 비공식 추산 1000명이 모였다.
 
앞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홈플러스 사태 해결 태스크포스(TF)는 5일 서울회생법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개 업체가 인수 의향서를 제출했지만 유통 전문성과 재정 안정성이 부족하다”며 “정부와 공공기관이 개입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