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출제위원장 "적정 난이도 출제…사탐런 유불리 최소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일인 13일 서울 종로구 경복고등학교에 마련된 고사장에서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일인 13일 서울 종로구 경복고등학교에 마련된 고사장에서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출제위원장은 13일 전체 출제 경향에 대해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는 내용만으로도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출제했다고 밝혔다.

김창원 수능 출제위원장(경인교육대 교수)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수능 출제 방향 브리핑에서 "고등학교 교육 정상화를 위해 교육과정에서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출제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교육과정에서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은 이미 출제된 것이라도 문항의 형태, 발상, 접근 방식 등을 변화시켜 출제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수능에도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 배제 기조는 유지됐다.

김 위원장은 "사교육에서 문제풀이 기술을 익히고 반복적으로 훈련한 학생들에게 유리한 문항은 배제했다"며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는 내용만으로도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출제했다"고 설명했다.

수능 교재·강의 연계율은 올해도 과목별 문항 수 기준으로 50% 수준에서 출제됐다.

김 위원장은 "연계율은 문항 수 기준으로 50% 수준에서 연계 체감도를 높여 출제하고자 했다"며 "선택과목이 있는 영역에서는 과목별 난이도 균형이 이뤄지도록 출제해 과목 선택에 따른 유불리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출제하고자 했다"고 덧붙였다.

올해 수능에서 최대 변수로 일컬어지는 이른바 '사탐런'과 관련해서는 "우리(출제위원회)는 애초에 세운 목표 난이도에 따라 작년 수능 기조와 올해 6월·9월 모의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에 근거해 문제를 출제한다면 그러한 선택과목 유불리 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했다"고 진단했다.

또 적정 난이도로 출제됐다는 평가를 받았던 작년 수능과 유사한 수준으로 출제된 것으로 분석됐다. 김 위원장은 "작년 출제 기조를 이어가도록 해서 (과목별) 표준점수 차이가 (작년과) 크게 나지 않도록 했다"고 말했다.

그는 "영어는 절대평가인 만큼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학생들 응답 특성을 고려해 적절하게 출제했다"며 "학생들 영어 능력을 정확히 측정하는 데 초점을 뒀다"고 덧붙였다.

EBS 국어 대표강사인 덕산고 한병훈 교사는 "올해 국어 난이도는 작년 수능과 올해 9월 모의평가 사이에 있다"며 "작년 수능과 더 유사한 난이도로 보인다"고 말했다.

EBS 현장 교사단 소속 심주석 인천하늘고 교사는 "수학 영역은 전체적으로 지난해 수능과 비슷하지만 종합적인 사고력을 필요로 하는 문항들이 있어 상위권 변별력이 지난해 수능보다 강화됐다"고 평가했다. 

입시업체들은 지난 수능과 비슷하거나 다소 어렵다는 견해를 내놓았다.

남윤곤 메가스터디 입시전략연구소 소장은 "국어의 전반적인 난도는 지난해 수능과 비슷한 수준"이라며 "세부적으로는 공통과목인 독서는 다소 어렵게, 문학은 평이하게, 선택과목인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는 평이하게 출제됐다"고 설명했다. 

임성호 종로학원은 대표는 "수학은 올해 9월 모의평가와 패턴이 유사한 문항이 나오긴 했지만 수험생이 정답을 찾는 과정에서 상당히 어려움을 겪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