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단독> 한국타이어 인도공장 설립 추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4-24 17:5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글로벌 '톱5' 위해 내년 상반기 공장규모 확정

(아주경제 김병용 기자) 한국타이어가 인도시장 공략에 나섰다. 인도 자동차시장은 해마다 두 자릿수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타이어 수요도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한국타이어가 글로벌 ‘톱5’를 지향하고 있는 만큼 인도는 결코 포기할 수 없다. 현지 공장이 필요한 이유다.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타이어는 지난해부터 인도공장 설립을 위한 부지 및 시장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타이어는 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르면 내년 상반기 중 공장규모와 착공시기를 확정할 방침이다.

한국타이어가 인도에 신규 공장을 설립할 경우 중국, 헝가리, 인도네시아(6월 착공)에 이어 또하나의 해외생산거점을 확보하게 된다. 현재 한국타이어는 대전·금산공장을 비롯해 중국 가흥·강소공장, 헝가리공장 등 총 5개의 생산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중국 충칭에 3공장(연산 1150만개)과 인도네시아 공장(연산 600만개)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타이어가 이처럼 대규모 해외투자를 진행하면서 인도공장을 추진하는 이유는 인도 자동차시장이 급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인도 자동차 내수규모는 303만9004대로 전년대비 34.2% 늘었다. 이는 중국의 32.4%보다 높은 수치로 주요국 가운데 가장 높은 성장률이다.

이에 따라 타이어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인도 타이어시장은 2008년 기준 2000억 루피(약 41억5000만 달러)의 규모를 형성하고 있다. 지난 5년간 연평균 8%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실제 세계 1위 업체인 브리지스톤이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오는 2015년 인도 PCR(승용차용 타이어) 부분은 2009년 대비 1.8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TBR(트럭·버스용 타이어) 수요는 인도 내 고속도로와 도로 인프라가 확대됨에 따라 24배 성장할 것으로 이 회사는 추정했다.

이에 따라 글로벌 타이어업체들의 인도 진출도 활발하다. 프랑스 업체인 미쉐린은 14억8000만 달러 규모의 인도투자계획을 세웠고, 브리지스톤은 인도 제2공장을 추진하고 있다.

코트라(KOTRA) 관계자는 “타이어 부문은 인도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외국인투자법에서 제한범위 없이 투자를 허용하고 있다”며 “글로벌 업체들이 활발하게 진출하고 있어 우리기업도 이들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적극적인 진출 전략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