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부채감축이라는 명목하에 무리한 통합이 이뤄질 경우 자짓 해당 공기업들의 부실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1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가스공사는 기획재정부와 지난달 29일 ‘가스·석유 자원개발 기능 조정 방안’에 대한 논의를 했다. 구체적으로는 해외자원 탐사·개발 사업은 석유공사가, 탐사·개발 이후의 가스 생산과 도입, 국내 유통 중심으로 사업 조정하는 것에는 가스공사가 추진하겠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가스공사가 올 초 정리하기로 한 해외개발사업 이외에 다른 사업들도 석유공사로 이관될 전망이다. 앞서 가스공사는 올 초 해외개발사업 중 액화천연가스(LNG) 사업과 우즈베키스탄 압축천연가스(CNG) 사업의 지분을 정리하겠다고 정부에 보고한 바 있다.
이와 함께 가스공사가 지분 25%(투자액 60억)를 갖고 있는 우주베키스탄 우준쿠이 탐사사업에서도 손을 뗄 것으로 보인다. 가스공사는 이들 사업의 개발에만 참여하고, 생산분은 국내가 아닌 해외에서 모두 처분할 계획이다.
이 밖에 한전 발전 자회사의 해외자원 개발사업 일부분이 광물자원공사로 이관되는 것도 정부가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광물공사측은 아직 구체적인 계획이 잡히지 않은 상태지만, 정부의 지침이 나올 경우 인수관련에 따르겠다는 입장을 밝힌 상태다.
하지만 관련 업계에서는 자칫 무분별한 통폐합이 해당 공기업들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무리한 구조조정에 따라 되려 부채감축이 아닌 부채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석유공사의 경우 2012년 기준 부채규모가 18조원, 광물자원공사는 2조3766억원의 부채를 앉고 있다. 석유공사는 올해 울산비축기지 매각으로 5190억원의 부채를 줄였고, 광물자원공사도 해외사업 축소로 2100억원을 절감하는 등 부채감축에 매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가스공사나 한전 자회사들의 부실 해외자산이 고스란히 떠앉을 경우 다시 '빚더미'에 싸일 수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이들은 무분별한 역할 조정에 앞서 이들 기업들이 재정적으로 입게될 손해를 방지할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관련 업계 고위 관계자는 "해외자원개발 통폐합을 통해 기업들 간 해외 중복투자를 막고, 기업의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다"면서 "하지만 자산을 흡수하는 기업들에 대한 정부의 구체적인 재정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