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톰슨로이터 자료를 인용해 올해 상반기 중국을 제외한 신흥국과 '제2신흥국'(프런티어 시장)의 국채 발행 규모가 모두 694억 7000만 달러(약 71조5600억원)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4% 증가한 수치로 역대 최대 기록이다. 지금 속도대로라면 올해 전체 발행규모도 사상최대를 기록할 전망이다.
올해 상반기 글로벌 국채 시장에서 가장 많은 양의 국채를 발행한 신흥국은 멕시코(84억 달러)다. 이어 슬로베니아(62억 달러), 터키(53억 달러), 인도네시아(53억 달러), 폴란드(46억 달러), 루마니아(36억 달러), 헝가리(30억 달러), 라트비아(27억 달러), 슬로바키아(26억 달러)가 그 뒤를 이었다.
문제는 투자자들이 글로벌 국채 시장에 단 한번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던 국가들에 대해 서슴없이 투자하고 있다는 점이다.
올해 들어 그리스 정부가 지난 4월 구제금융 이후 4년만에 실시한 30억 유로 규모 국채발행을 통해 200억 유로를 확보했다. 또 키프로스도 자국 금융 위기 후 1년여 만에 채권시장에 복귀했다.
아프리카 국가들의 국채 발행도 이어지고 있다. 6월 중순 케냐는 아프리카 국가로는 사상 최대 규모인 20억 달러의 국채를 발행하며 국제채권 시장에 성공적으로 데뷔했다. 당시 케냐의 첫 국채 발행에는 모집액의 4배에 해당하는 80억달러가 넘는 자금이 몰렸다. 지난 2008년 디폴트(채무 불이행)를 선언하며 국제 금융시장에서 퇴출된 남아메리카의 에콰도르도 올해 들어 20억 달러의 국채를 무난히 신규 차입했다. 또 2011년 디폴트를 선언했던 코트디부아르도 자본시장 복귀에 성공했다.
일각에서는 글로벌 국채 시장에서 신흥국의 활발한 채무발행이 과도한 부채 부담과 급작스런 자금 이탈 가능성을 키우는 부작용을 안겨줄 것이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제기하고 있다.
FT는 선진국들이 잇따라 금리를 인상할 경우 지난해 글로벌 금융시장을 강타한 '테이퍼 탠트럼(taper tantrum·양적완화 축소에 대한 동요)'을 재현시킬 수 있면서 선진국이 금리를 인상하면 돈이 갑자기 빠져나가면서 신흥국 금융시장에 충격이 불가피할 것이란 점을 경고했다.
UBS의 바누 바웨자 신흥시장 전략가는 "저금리 구도에서 신흥국이 단기 채무 차환 등을 위해 차입을 대폭 늘리는 것"이라고 설명한 뒤 "신흥국들이 금리가 낮을 때 단기채무를 상환하고 있기는 하지만 발행되는 부채의 질이 걱정스러울 만큼 악화되고 있다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