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마스크 판매에 속도를 붙이고 있지만, 마스크를 원하는 수요층을 감당하지 못하자 판매 창구를 확대하고 나선 것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정부가 공적 물량으로 확보한 마스크를 편의점에서도 팔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지난 1일 문재인 대통령이 식약처장에 마스크 수급과 관련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모든 대책을 최우선적으로 강구하라"고 지시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세 가속화로 마스크 수요가 급증하자, 지난달 26일 마스크 긴급 수정 조치를 내리고 마스크 생산량의 50%를 공적 판매처를 통해 판매토록 하는 강제 조치에도 나선 바 있다.
하지만 정부의 이 같은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의 원성은 이어지고 있다. 마스크가 코로나19를 예방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필수품인 것은 알면서도, 마스크 가격이 워낙 크게 급등한데다 이마저도 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2일 기준 전국 마스크 공적 판매처는 △읍·면 소재 우체국 1400여곳 △서울·인천·경기를 제외한 농협 하나로마트 1900여곳 △공영 홈쇼핑 △약국 2만4000여곳 △의료 기관 등에 불과하다.
이들 공적 판매처는 물론 민간 대형 마트도 매일 일정 시각에 판매 시각과 입고 물량을 공지하며 마스크 공급에 나서고 있지만, 마스크 수급 불균형이 심해 사실상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이미 마스크 입고 공지 시간 전부터 줄이 길게 늘어져 있어, 마스크를 사지 못하고 발길을 돌리는 시민들의 사례가 대다수 발견되고 있다.
정부와 업계는 일단 편의점이 공적 마스크 판매처로 등록되면, 마스크 대란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편의점의 경우 소비자 접근성이 워낙 좋고, 유통망도 전국에 광범위하게 퍼져있기 때문이다.
편의점 업계 역시 정부에 편의점이 마스크 공적 판매처로 포함돼야 한다고 거듭 강조해왔다.
한국편의점주협의회 관계자는 "편의점은 전국 점포가 4만5000여곳에 달할 만큼 국내 최고 유통망을 보유하고 있고, 시민이 찾기 쉬운 곳에 위치한 장점을 갖추고 있다"며 "특히 편의점은 특정 장소에 많은 인파가 단시간 내 몰려 발생하는 불편과 감염 위험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마스크의 모든 가격은 본사에서 결정된다. 개별 점포가 가격을 임의로 조정할 수 없어, 가격 안정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 판매 및 재고 물량을 수시로 파악할 수 있어 필요 시 점포 간 유기적 물량 이동도 가능하다"며 "이렇듯 편의점은 소비자 접점이 가장 넓은 판매처를 갖고 있어 공적 마스크 판매처로 적합하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