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1차관이 31일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열린 제6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 공청회에서 발언 하고 있다. [사진=보건복지부]
복지부는 31일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제6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2023~2027년)'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청회는 향후 5년간 장애인정책 추진전략과 실행과제에 대한 장애인 당사자와 학계 전문가, 국민의 의견을 수렴해 종합계획에 반영하고자 마련됐다.
공청회에는 김일열 복지부 장애인정책과장, 김선미 교육부 특수교육정책과장, 이부용 고용노동부 장애인고용과장, 최정민 국토교통부 생활교통복지과장 등이 참석해 주요 내용을 발표했다.
복지부는 이번 종합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지난해 5월 장애계·학계·관계부처 등으로 구성된 '제6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 수립 실무추진단’을 구성하고 추진과제를 논의했다.
이기일 복지부 1차관은 "이번 5년간 장애인 정책의 발전방향을 담은 청사진"이라며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도입하는 등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차별 없이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전 영역에 걸쳐 틈새 없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복지부는 이번 공청회를 통해 제기된 의견을 관계부처와 함께 적극 검토해 종합계획을 보완하고, 국무총리 주재 장애인정책조정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발표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