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날로 심각해지는 ‘지방 소멸’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머리를 맞댔다. 지역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은 물론, 서울에 집중된 관광객을 지방으로 분산해 ‘양적 성장’과 ‘질적 성장’을 동시에 이루겠다는 전략이다.
25일 야놀자리서치에 따르면 2023년 외래 관광객의 서울 방문 비율은 80%를 넘어섰으며, 주요 관광도시인 부산과는 62.7%p의 격차를 보였다. 수치에서 알 수 있듯, 방한 관광은 수도권에 쏠려 있다. 지방은 인프라 부족과 홍보 미흡으로 관광객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관광은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지방 소멸 위기를 극복할 핵심 전략 중 하나로 꼽힌다. 관광객이 1% 증가하면 지역 GRDP는 0.11%, 서비스업 종사자는 0.1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관광객 증가는 지역 경제에 즉각적이면서도 강력한 파급 효과를 가져온다. 2019년과 2023년 두 해를 비교한 결과, 관광객이 증가한 31개 기초자치단체의 생산유발 효과는 최소 600억원에서 최대 7000억원에 달했으며, 고용 창출 효과도 최대 8000명에 이르렀다.
특히 강원도 양양군은 관광객 증가로 인해 생산유발 효과 3178억원, 부가가치유발 효과 1354억원, 취업유발 효과 3362명을 기록했다. 관광객 증가가 지역 상권을 되살리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낸 것이다.
야놀자리서치 관계자는 “관광은 단순히 지역 경제를 살리는 것을 넘어 인구 고령화와 지방 소멸 위기를 해결할 지속 가능한 전략”이라며 “이를 위해 정부는 관광을 국가 핵심 산업으로 격상하고, 민관 협력을 통해 교통 인프라 개선과 지역 특화 콘텐츠 개발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는 수도권에 집중된 관광객을 지방으로 분산하기 위해 예산을 투입하고 관광 콘텐츠 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역 관광교통 개선을 위해 ‘초광역형 관광교통 혁신 선도지구’로 선정된 1개 지역에 3년간 최대 25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 ‘관광교통 촉진지역’으로 선정된 2개 지역에는 1년간 4억원씩 지원한다.
인구 감소 지역의 관광과 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해 운영 중인 ‘디지털 관광주민증’ 적용 지역을 45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서울시와 서울관광재단도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수도권 과밀화를 해소하는 데 힘을 보태기로 했다. 올해 주요 사업을 지방과 연계해 공동으로 진행하며, 유튜브와 SNS 홍보는 물론, 외국인 전용 자유이용권인 ‘디스커버서울패스’의 지방 연계를 확대할 방침이다.
각 지자체는 관광 인프라 강화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구와 울산은 관광 활성화를 위해 교통 연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인천은 수도권매립지에 아쿠아리움을 접목한 테마파크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강원도는 설악산 오색삭도(케이블카) 설치 사업과 관광자원 개발 전환 사업을 통해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충북은 MICE 회의시설 개관을 추진 중이다.
경남 창원은 다음 달 28일 개막하는 제63회 진해군항제를 앞두고 축제 콘텐츠와 벚꽃 관광지를 연계한 체류형 관광상품을 개발한다. 경남도는 올해 남해안 대표 관광콘텐츠로 ‘이순신 승전길’을 조성한다. 창원과 통영 등 6개 시·군 159.8㎞에 걸친 12개 테마 노선을 만들어 연내에 선보일 계획이다.
전북은 ‘전북야행’ 야간관광 특화도시 조성, 미식 관광 활성화, 친환경 산악관광지구 지정 등 차별화된 콘텐츠를 확대한다. 또 미식 관광 브랜드화를 추진하고 14개 시군을 대상으로 지역 특색을 살린 음식 관련 관광 상품을 개발한다. 음식과 연계한 스토리텔링 여행 코스를 마련해 방문객들의 체류 시간을 늘리는 전략을 구상 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