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탄핵 선고 앞두고…환율 16.5원 급락한 1450.5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서민지 기자
입력 2025-04-04 09:4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美 상호관세 충격 여파로 달러인덱스 102대

  • "탄핵 인용 시 1440원대 하향 이탈 가능성"

헌법재판소는 4일 오전 11시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을 선고한다 윤 대통령을 파면하거나 직무에 복귀시키는 헌재 결정의 효력은 재판장이 주문을 읽는 즉시 발생한다 사진 윗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 앉은 정계선 문형배 정형식 김복형 조한창 정정미 헌법재판관 윤 대통령 이미선 김형두 헌법재판관 사진공동취재단
헌법재판소는 4일 오전 11시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을 선고한다. 윤 대통령을 파면하거나 직무에 복귀시키는 헌재 결정의 효력은 재판장이 주문을 읽는 즉시 발생한다. 사진 윗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 앉은 정계선, 문형배, 정형식, 김복형, 조한창, 정정미 헌법재판관, 윤 대통령, 이미선, 김형두 헌법재판관. [사진공동취재단]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를 앞두고 원·달러 환율은 미국 상호관세 충격에 따른 글로벌 달러 약세를 반영해 16원 이상 급락해 출발했다.

4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6.5원 하락한 1450.5원에 시작해 한때 1448.5원까지 내려갔다가 1450원대에서 등락하고 있다. 

전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는 글로벌 관세 전쟁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를 촉발했다. 간밤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3.98%,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4.84%, 나스닥 종합지수는 5.97% 급락했다.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2020년 6월 이후, 나스닥 종합지수는 2020년 3월 이후 가장 크게 떨어졌다.

달러 가치도 크게 떨어졌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71% 내린 102.019를 나타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오전 11시로 예정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결과에 따라 크게 출렁일 수 있다. 민경원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시장이 관세인상 최대 피해자로 미국을 지목하면서 달러인덱스가 급락한 가운데 수출업체 추격매도 등이 가세할 경우 장중 낙폭이 커질 수도 있다"며 "다만 수입업체 결제와 해외주식투자 환전 등 실수요는 추가 하락을 억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민 이코노미스트는 "리스크 시나리오는 기각되는 케이스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고 국면 전환으로 넘어 감에 따라 원화 가치 급락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면서 "인용으로 결론이 날 경우 장중 1440원 하향 이탈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에 변동성 확대에 주의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92.45원이다. 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었던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가 996.33엔보다는 3.88원 내렸다. 엔·달러 환율은 0.62% 내린 146.341엔을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