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서울시와 베이징시가 6년 만에 만나 관광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서울시는 12일 베이징시 문화여유국 대표단과 ‘서울-베이징 관광정책 간담회’를 열었다고 13일 밝혔다.
간담회는 두 도시 간 관광자원 교류와 관광객 유치를 위한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구종원 시 관광체육국장은 이번 간담회에서 사계절 내내 즐거운 펀(FUN) 시티를 주제로 서울의 매력을 알렸다. ‘쉬엄쉬엄 한강 3종 축제’ 등 서울 도심 곳곳에서 개최되는 외국인 참여 축제를 소개하는 등 관광 활성화와 협력 방안도 제시했다.
손지앤 베이징시 부국장은 서울의 인바운드 관광 실적과 해외 홍보 전략이 매우 인상적이라고 짚었다. 또 베이징도 중국 인바운드 관광시장에서 제1의 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서울시만의 경험과 전략을 참고하고 싶다는 협력 의지를 드러냈다.
앞서 서울시와 베이징시는 2013년 관광 협력 협약 체결 후 공동 관광설명회 개최하는 등 공동 홍보·마케팅 등을 활발하게 추진해 왔다. 하지만 2019년 팬데믹 등으로 공식적인 교류가 끊겼다.이후 팬데믹 종결과 대내외적인 상황변화 등으로 양국 관광객의 실질적 교류가 증가하면서 이번 간담회가 성사됐다.
실제 지난해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460만명으로 방한 외래관광객 1636만명의 28%를 기록하며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 수는 전년 대비 127% 늘었다. 중국을 방문한 한국인 관광객도 231만명으로 전년 대비 115% 증가했다. ‘금요일 퇴근 후 중국행’ 이라는 여행 트렌드도 확산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해 지난해 11월, 중국 정부는 한국인 대상 관광 목적 무비자 입국을 재개했다. 한국 정부도 상호 조치로 중국 단체관광객에 대한 한시 비자 면제를 3분기 중 시행할 계획이다.
구종원 국장은 “서울시과 베이징시는 양 도시 관광 산업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정책을 추진해 갈 계획”이라며 “베이징을 시작으로 해외 유수 도시와의 실질적인 협력을 다각도로 발굴·추진해 서울의 매력을 세계에 널리 알리고 이를 통해 ‘3·3·7·7 관광 시대’를 앞당기겠다”고 했다.
서울시 관광 활성화 목표인 3·3·7·7 관광시대는 연간 해외관광객 3000만명, 1인당 지출액 300만원, 체류기간 7일, 재방문율 70%를 뜻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