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세 이상 고령층 경활인구 1000만명↑…73.4세까지 근로 희망

자료통계청
[자료=통계청]

55세부터 79세까지 고령층 경제활동인구가 1000만명을 넘어섰다. 고령층 10명 중 7명은 계속 근로를 희망했으며 평균적으로 73.4세까지 더 일하기를 원했다.

통계청은 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5월 기준 고령층(5579세) 인구는 1644만7000명으로 1년 전보다 46만4000명 증가했다. 15세 이상 인구의 36.0%를 차지한다.

고령층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는 1001만명으로 1년 전보다 32만8000명 늘었다. 2005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처음 1000만명대에 진입했다.

같은 기간 고령층 취업자는 978만명으로 34만4000명 증가했다. 고령층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은 각각 60.9%, 59.5%로 작년보다 각각 0.3%포인트(p), 0.5%포인트 상승했다. 모두 역대 최고 수준이다.

산업별로 고령층 취업자는 주로 보건·사회·복지(13.7%), 제조업(12.5%)에 많았다. 직업별 비율로는 단순 노무 종사자(22.6%), 서비스 종사자(14.5%)에서 높고 관리자(2.1%), 사무 종사자(8.3%)에서는 낮았다.

대부분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는 계속 일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고령층 중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서 지금도 근무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은 30.1%, 그만둔 사람의 비율은 69.9%로 나타났다. 그만둘 때 나이는 평균 52.9세다.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이유는 사업 부진·조업 중단·휴업·폐업(25.0%), 건강이 좋지 않아서(22.4%), 가족을 돌보기 위해(14.7%) 순으로 높았다.

고령층의 연금 수령액은 월 100만원에 못 미치고, 노동시장에는 더 머물기를 원하는 추세다. 지난 1년간 연금 수령자는 850만2000명으로 고령층의 51.7%를 차지했다. 이들의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86만원에 그쳤다.

이는 국민연금연구원이 작년 12월 발표한 1인 기준 노후 최소생활비 136만1000원의 63%에 불과한 수준이다. 고령층이 연금만으로는 생계유지가 어려워 계속 일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해석이 나온다.

고령층 가운데 장래에 일하기를 원하는 사람은 1142만1000명으로 전체의 69.4%를 차지한다. 10명 중 7명은 계속 일하기를 희망한다는 것이다. 근로 희망 비율은 역대 최고치였던 지난해와 같았다.

장래 근로를 희망하는 고령층의 근로 희망 연령은 평균 73.4세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0.1세 상승하며 2011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가장 높았다. 근로 희망 사유로는 '생활비에 보탬'이 54.4%로 1위를 기록했다. 이어 일하는 즐거움(36.1%)이 뒤를 이었으며 무료해서(4.0%), 사회가 필요로 함(3.1%), 건강 유지(2.3%) 등의 사유였다.

희망하는 월평균 임금수준은 300만원 이상(21.5%), 200만250만원 미만(19.4%) 순으로 많았다. 300만원 이상 구간이 작년보다 2.2%포인트 늘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