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 벤츠와 15조원 배터리 계약…중국 의존 벗는 '게임 체인저'

  • 벤츠에 7년에 걸쳐 107GWh 공급 계약

  • 차세대 46시리즈 배터리 사업 본격화

  • 중국 배터리 의존 탈피 전략 가속

LG에너지솔루션의 46시리즈 배터리 사진LG엔솔
LG에너지솔루션의 46시리즈 배터리 [사진=LG에너지솔루션]

메르세데스-벤츠가 중국 배터리 의존에서 벗어나기 위해 LG에너지솔루션과 약 15조원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은 벤츠의 글로벌 배터리 전략과 프리미엄 전기차 라인업에 큰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벤츠와 전기차용 배터리 공급계약을 맺었다고 공시했다. 세부적으로 △미국 75GWh(2029년 7월~2037년 12월) △유럽 32GWh(2028년 8월~2035년 12월) 등 총 107GWh 규모다. 전기차 약 150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물량으로, 계약 금액은 약 15조원에 달한다.

이번 계약의 핵심은 LG에너지솔루션이 차세대 ‘46시리즈’ 원통형 배터리를 공급한다는 점이다. 지름 46mm 대형 원통형 배터리는 기존 제품보다 에너지 밀도와 주행거리를 크게 늘릴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꼽힌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애리조나에 36GWh 규모의 원통형 전용 공장을 짓고 내년부터 본격 양산에 나설 계획이며,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도 46시리즈 생산 거점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벤츠는 그간 EQE·EQS 등 주요 전기차 모델에 CATL과 파라시스 배터리를 폭넓게 사용해왔다. 실제로 2025년형 EQS 350 모델은 기존 파라시스 배터리 대신 CATL 배터리를 탑재했으며, 벤츠 전기차 9종 중 7종이 중국산 배터리를 쓰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계약으로 LG에니지솔루션이 벤츠의 프리미엄 전략 모델 공급망에 본격 진입하면서 중국 배터리 의존 구조에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유럽 시장에서도 이번 계약은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중국 업체들이 공격적 가격 전략과 현지 생산 거점 확보로 시장 공세를 펼치며 한국 배터리 점유율이 낮아진 상황에서, 이번 수주가 LG에너지솔루션의 추가 수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LG에너지솔루션이 중국 업체를 제치고 벤츠에 대규모 수주를 성공함으로써 한국 배터리 산업의 앞선 기술력을 증명했다"며 "벤츠가 CATL·파라시스 중심 체계에서 LG에너지솔루션을 핵심 파트너로 끌어들인 것은 중국 배터리 의존에서 벗어나려는 전략적 전환"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46시리즈에서의 확실한 경쟁 우위를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벤츠 차세대 모델 적용으로 유럽 시장 경쟁 구도도 크게 달라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에도 메르세데스-벤츠 계열사와 수조원대 전기차 배터리 공급계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당시 계약 물량은 2028년부터 10년간 총 50.5GWh 규모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