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만에 국감 받는 경남도...명태균 출석 확정에 '초긴장'

  • 산불, 집중호우 인명 피해, 진해신항 개발 등 주요 현안 줄줄이 도마 위

그래픽 박연진 기자
[그래픽= 박연진 기자]
 

3년 만에 열리는 경상남도 국정감사를 앞두고 도청 안팎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28일 경남도청에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열리는 국정감사에는 산불·호우 대응부터 행정통합, 항만 문제, 정치권 인사 의혹까지 굵직한 현안이 줄줄이 도마 위에 오른다.

지난해 전국체전 개최로 감사가 한 차례 건너뛴 만큼, 이번 국감은 사실상 ‘3년치 도정 점검’의 성격을 띤다. 여야 의원들이 쟁점별로 공세를 예고하면서, 전국 국감 중 가장 뜨거운 현장이 될 전망이다.

경남도는 이미 비상 체제에 돌입했다. 국감 준비단을 중심으로 주요 부서가 질의 예상문항과 답변 자료를 재점검하고 있으며, 영상·행정보고서까지 다시 손질 중이다. 박완수 지사 역시 도정 현안 질의에 직접 대비하며 대응 논리를 챙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국감의 최대 변수는 명태균 씨의 증인 출석 확정이다. 당초 재판 일정으로 불투명했던 명 씨의 출석이 가능해지면서 파장이 커졌다. 그는 2022년 지방선거 공천 개입, 창원 제2국가산단 정보 유출, 남명학사 채용 청탁 등 의혹과 관련해 증언대에 설 예정이다.

도청 측은 “도정과 무관한 사안”이라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명 씨의 이름이 등장하는 것만으로도 정치적 해석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는 점, 질의가 정치공세로 흐를 경우 본질이 흐려질 우려가 다분하다는 점에서 부담이다. 

재난 행정 분야도 주요 쟁점이다. 올 3월 산청·하동 산불과 7월 서부경남 집중호우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잇따르면서, 국회는 재난 대응체계의 적정성과 복구 예산의 투명성을 점검할 예정이다. 도는 예방 중심의 재난관리 체계 개선 필요성을 강조할 방침이지만, 일각에서는 “현장 대응 미흡이 부각될 경우 도정 신뢰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부산경남 행정통합’과 ‘진해신항 개발’, ‘낙동강 물관리’ 등도 도마 위에 오른다. 특히 경남도가 추진 중인 ‘부산항만공사 명칭 변경’ 문제는 정치적 파장을 불러올 가능성이 있다. 이 밖에도 지방재정 운용, 지역소비 쿠폰, 산업재해 대응 실태 등 민생 현안 전반이 폭넓게 점검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