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2026 밀라노 동계올림픽 '무결점 중계' 준비 착수

  • 밀라노 동계올림픽 방송중계 컨트롤타워 안양사옥…'지구 반바퀴' 해저케이블 중계

LG유플러스가 내년 2월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개최되는 동계올림픽 방송 중계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진은 LG유플러스 임직원이 안양사옥 방송센터에서 ‘히트리스 프로텍션’ 기술을 시연하고 있는 모습1과 방송중계 장비를 조작하고 있는 모습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가 내년 2월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개최되는 동계올림픽 방송 중계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진은 LG유플러스 임직원이 안양사옥 방송센터에서 ‘히트리스 프로텍션’ 기술을 시연하고 있는 모습(1)과 방송중계 장비를 조작하고 있는 모습.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2026년 이탈리아 밀라노 동계올림픽 방송 중계를 위한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5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이번 대회 국제방송중계 서비스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방송중계 및 IPTV 등 유선플랫폼 서비스를 총괄하는 안양사옥을 중심으로 중계 시스템 구축에 나섰다.

안양사옥은 과거 도쿄올림픽(2021), 파리올림픽(2024) 등 주요 국제 스포츠 이벤트의 실시간 중계를 안정적으로 수행한 전례가 있다. 이번에도 국내 단독으로 중계 회선을 제공할 예정이다.

밀라노 현지 경기 영상은 국제방송센터(IBC)에서 해저케이블을 통해 안양사옥까지 약 2만km 구간을 이동한다. 중계 신호 전송 과정에서 해저케이블 손상이나 정전 등 다양한 변수에 대비하기 위해, LG유플러스는 3단계 안정화 시스템을 구축한다.

먼저, 밀라노에서 한국까지 연결되는 해저케이블을 4원화했다. 지중해·인도양·남중국해를 거치는 경로 2개, 대서양과 태평양을 통하는 경로 2개를 확보해 회선 장애 발생 시 즉시 전환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전송 중 끊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히트리스 프로텍션(Hitless Protection)’ 기술을 적용한다. 이 기술은 주 회선과 예비 회선의 신호를 동시에 수신·분석해, 장애 감지 시 자동으로 다른 회선으로 전환하는 방식이다.

LG유플러스는 모든 회선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현지 인터넷망 기반 SRT(Secure Reliable Transport) 프로토콜을 활용한 전송 체계도 마련할 계획이다. 오류가 발생해도 자체 보정 및 재전송이 가능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영상 전송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현지 모바일망을 이용한 무선 전송 장비(MNG)도 운용한다. MNG는 약 1kg의 휴대형 네트워크 장비로, 기지국을 통해 콘텐츠를 송출할 수 있어 긴급 상황에서도 전송이 가능하다.

안양사옥은 국제 회선 및 네트워크 장비 전 구간의 점검 상황을 24시간 공유하며, 실시간 모니터링 대시보드로 국내외 네트워크 상태를 관제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이번 대회를 위해 안양사옥에 전담 인력 18명, 밀라노 현지에 6명을 배치하고, 해외 사업자와의 실시간 협업 체계를 운영할 계획이다.

정하준 LG유플러스 유선플랫폼운영담당(상무)은 “국민이 안정적인 고화질 방송으로 올림픽을 시청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