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일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발표평가를 통해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텔레콤(SKT), NC AI, LG AI연구원 등 5개 팀을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한국만의 독자적인 초거대 AI 모델을 확보하기 위한 작업이다. 국내 AI 기업 기술력을 국가적 차원에서 집약해 AI 경쟁력을 글로벌 선두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걸 목표로 디지털 주권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과기정통부는 독자적 AI 기술 역량, 개방형 생태계, 글로벌 수준 대형 파라미터 모델 개발, 국내 AI 생태계 기여 등을 종합 평가해 5개 팀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장기철 과기정통부 인터넷진흥과장은 "기업 규모에 따른 안배는 없었다"며 "오직 기술력과 잠재력을 기준으로 평가했다"고 강조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네이버클라우드는 거대언어모델(LLM) 개발 경험과 상용화 실적, 업스테이지는 오픈소스 전략과 소형 모델 개발 계획, SKT는 국산 반도체 활용과 기업 소비자 간 거래(B2C) 서비스 기반 접근성, NC AI는 실서비스 적용 경험과 산업 특화 플랫폼, LG AI연구원은 글로벌 벤치마크 성능이 강점으로 꼽혔다.
과기정통부는 데이터 데이터, 인재,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AI 모델 구축에 필요한 필수 요인을 전방위로 지원할 계획이다. 올해 안으로 누구나 AI 모델 성능을 평가하고 검증할 수 있는 리더보드도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
아울러 이번에 선정된 5개 팀은 올 12월까지 최신 글로벌 AI 성능 대비 95% 이상 수준을 달성한 모델을 확보해야 한다.
송 실장은 "올해 말 1차 평가를 통해 5개 팀에서 4개 팀으로, 내년 상반기에는 3개 팀으로 줄여나갈 계획"며 "최종적으로 2027년 2개 팀만 남길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평가 방식은 발표평가위원회는 물론 대국민 등도 준비할 예정"이라며 "세부 일정과 방식은 추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