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의 공약 작업을 주도하는 싱크탱크 '성장과 통합'이 16일 출범했다. 성장과 통합은 '경제 성장'을 중심에 두고 활동한다는 계획이다. 가장 집중하는 분야는 미래 먹거리로 꼽히는 인공지능(AI)이다. 특히 집권 비전으로 '3·4·5 성장 전략(3% 성장률·4대 수출 강국·1인당 국민 소득 5만 달러)'을 제시했다.
상임 공동대표를 맡은 유종일 한국개발연구원(KDI) 전 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다시 빛나는 대한민국, 성장과 통합' 출범식에서 "AI 기반 기술 혁신과 에너지 대전환을 통해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것에 정책 개발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공동 대표는 유 전 원장과 허민 전남대학교 교수가 맡았다. 장병탁 서울대 AI연구원장과 김진아 한국외대 LD학부 교수, 김양희 대구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등은 비상임 공동대표로 참여한다. 각계 전문가 500여 명이 이름을 올렸으며 정치인을 배제하고, 관료와 교수 중심으로 구성됐다.
성장과 통합은 경제 성장에 중점을 둔 대선 공약 개발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유 전 원장은 "우리 산업의 강점인 제조업을 혁신해야 성장 동력을 회복할 수 있다"며 "첨단 과학 기술과 주력 산업 분야에서 정부와 기업이 새로운 파트너십을 구축해 경제 선순환 생태계를 만들면 경제 위기 극복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집권 비전으로는 2030년까지 '3% 잠재 성장률, 세계 4대 수출 강국, 1인당 국민 소득 5만 달러 달성'을 목표로 하는 '3·4·5 성장 전략'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제조업의 AI 대전환, 에너지 공급망 혁신, 전략적 첨단 산업 육성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유 전 원장은 이어 "대한민국이 AI 시대에서 앞서갈 수 있어야 한다"며 "인프라 구축·인재 양성부터 산업, AI 정부, AI 국제 기구 유치까지 대한민국이 AI 시대 선도국이 되기 위한 정책을 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성장과 통합은 총 34개 분과위원회를 두고 각 분과 위원장과 부위원장에 전문가를 대거 배치했다. AI 분과는 이 분야 최고 전문가로 꼽히는 장병탁 서울대 AI연구원장, 과학·기술 분과는 윤석진 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보건 의료 분과는 홍승권 한국일차보건의료학회 회장, 복지 정책 분과는 양성일 전 보건복지부 차관이 각각 맡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